홍석경
서울대학교 불문학과에서 학사과정 중 롤랑 바르트의 대중문화 속 신화와 이데올로기 비판작업에 영향을 받아 동 대학의 신문학과 (현 언론정보학과)로 전공을 바꿔서 진학, 미디어이벤트로서 Live Aid의 현실구성에 대한 석사논문을 썼고 박사과정 수료후 프랑스 그르노블대학에서 미디어의 현실구성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귀국 후엔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으로서 방송정책의 생산을 현장에서 경험했고, 이것은 문화연구가 현실에 대한 비판적 개입을 하는 방식의 일원으로 정책적 함의를 지니며 발전해야한다는 생각을 지니게 되었다. 2000년-2013년 프랑스 보르도대학 언론정보학과 부교수 기간엔 프랑스의 다문화 시민성에 대해 영상방법론을 활용한 대규모 연구를 진행했고, 이 기간에 세계 속 한류현상에 대한 현장연구를 시작, 서울대에 부임한 2013년 이후엔 한국 대중문화와 한류, 디지털 미디어실천과 문화적 형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현재 한국 문화산업과 한류발전의 하부구조로서 방송영상을 포함한 대중문화아카이브 건설을 위한 기초 연구와 더불어 한류발전의 마일스톤 역할을 한 BTS에 이어 Netflix연구를 진행중이다.
박소정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과정을 밟으면서 사람과 세상을 매개하는 가장 강력한 힘이 문화에 있다는 것을 느끼고 동 대학의 언론정보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TV, 영화, 아이돌, 온라인 커뮤니티 등 대중문화와 디지털문화의 전 영역을 꾸준히 향유해온 덕에 덕업일치를 이룬 연구자가 되었다. 주로 미디어 문화를 통해 관찰되는 정체성과 친밀성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담론 분석, 인터뷰, 현장 관찰 등의 질적 방법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한다. 박사학위논문과 단행본 <미백: 피부색의 문화정치>를 통해서 한국 미디어 문화의 핵심 미학인 미백과 K뷰티에 대해 반인종주의적이고 포스트식민주의적인 해석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동아시아 사회의 ‘종족-미디어정경(ethno-mediascapes)’에 주목하며 인종∙종족 문제와 미디어 환경이 교차하여 만들어내는 여러 현상을 관찰 중이다.
김수아
김수아는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정보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 미디어와 젠더를 전공하였으며, 주요 저서로 『핵심이슈로 보는미디어와 젠더』(2019, 공저), 『모두를 위한 성평등 공부』(2020, 공저), 『안전하게 로그아웃』(2021) 등이 있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페미니즘 이슈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대중문화 영역에서의 젠더 재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은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문화산업과 미디어 매개 커뮤니케이션, 대인 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육과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닐슨리서치에서 마켓팅조사 연구원으로 잠시 재직했고 이후 노스웨스턴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경제학자로서 미디어산업을 연구하는 스승을 만나게 되어 당시의 뉴미디어였던 케이블텔레비전의 콘텐츠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궁극적으로 미디어 기술이 사회와 문화에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넓은 관심이 있고 이를 위해서 미디어 기술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와 미디어를 향유하는 소비자/수용자의 양면을 함께 보아야 한다고 믿는다. 문화는 점점 산업이 되고자 하고 산업은 점점 문화가 되고자 하는 점을 늘 흥미롭게 관찰하고 있다. 전통적인 언론학 영역에 머물기보다 문화산업과 문화소비, 문화가 만드는 창의성 등과 관련된 주제에 넓게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연결된 개인의 탄생>, 공저서로는 <SNS 혁명의 신화와 실체> <창조성의 원천> 등이 있다.
서지영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국문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으면서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문학 정신에서 출발한 한국학 연구의 도정에 들어섰다. 구조주의, 기호학에서 신역사주의까지 서구 문화이론에 힘입어 문학 텍스트의 안과 밖을 교차하는 방법론을 다각적으로 성찰해왔으며 한국 역사와 문화 속의 다양한 내러티브들을 탐색하는 문화사 연구로 확장해왔다. 특히 학술적으로 덜 주목받아 온 주제인 감정/열정의 문화적 재현, 근대 초기 식민지 모더니티 경험과 젠더, 여성을 포함한 역사 속에 가시화되지 않았던 주변적 존재들에 천착해 왔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아시아학부에서 두 번째 박사논문 <Vernacular Music and Female Musicians in Late Chosŏn Korea>(2019)를 출간했다. 한국문화사 속의 대중예술인과 셀러브리티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한국 대중문화사 및 한류 관련 학술서들을 영역(英譯)하는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고윤화
서울대학교 작곡과 이론전공 및 동 대학원을 졸업 후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디지털 시대의 한국 음악산업 구조의 변화와 성장>에 관한 주제로 사회학박사를 취득했다. 벅스, 쥬크온, 네오위즈에서 뮤직콘텐츠 제작PD 및 기획자로 일했다. 현재는 숭실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에서 특임교수로 재직중이며 문화기술융합 컨소시엄 Artist First Alliance(AFA) 디렉터, 다양한 콘텐츠 사업분야의 회사들의 자문/고문을 맡아 산업분야와 학계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화로 인한 음악산업의 구조 변화와 음악의 사회적 기능 변화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한 음악산업 분석과 3D 입체사운드 기술과 언택트 공연의 변화에 관한 논문이 있으며, 저서로는 <예술경영과 예술행정>, <음악의 이해와 감상>, <K-Culture Trend 2024>(공저) 등이 있다.
신정원
필리핀에서 일어나고 있는 케이팝의 토착화 현상을 다룬 연구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연구보조원으로 일하고 있다. 케이팝 팬덤과 산업을 중심으로 한류의 세계화와 문화민족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에 관심이 있다.
김강빈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미디어와 문예창작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과정에서 한국의 대중문화 현상 분석과 상호매체성을 중심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또한 뉴미디어 생산 환경 속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적 멀티미디어 텍스트 연구를 진행 중이며 UBC 아시아연구센터에서 연구 조교로서 아시아계 이민자 역사에 관한 영상제작 및 아카이빙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김정은
문화연구에 대한 관심으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했다. 현재 한류창의산업 생산자연구 프로젝트에 연구보조원 역할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인종과 젠더를 가로지르는 개인의 상호교차적정체성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국 대중문화 속 인종주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목표다.
신영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밟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문화연구 및 시네마 연구로, 특히 영화라는 매체가 실재를 그리는 과정에 주목하여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영화 이론을 연구 중이다. 또한, 퀴어 시네마와 같이 사회적으로 주변화된 존재들이 다양한 문화 형식을 빌어 자신을 발화하는 양상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